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밈주식 성지’ 레딧, 美증시 상장 첫날 48% 폭등
    주식이야기 2024. 3. 22. 09:25
    728x90
    300x250
    SMALL

    레딧 (Reddit)**은 기본적으로 등록된 사용자들이 당신이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대규모 포럼 그룹이다.


    레딧(Reddit)은 사용자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할 수 있는 아메리카의 소셜 뉴스 집계, 웹 콘텐츠 평가, 그리고 토론 사이트이다.

    사용자들은 레딧에 글을 올리거나 링크를 공유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이에 대해 투표를 하거나 댓글을 달아 의견을 나눌 수 있다.

    레딧의 콘텐츠는 다양한 '서브레딧(subreddit)'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서브레딧은 특정 주제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본 정보

    - **창립자**: 스티브 허프먼(Steve Huffman)과 알렉시스 오하니안(Alexis Ohanian), 그리고 아론 스워츠(Aaron Swartz)가 공동 창립했다.

    - **창립 연도**: 2005년
    - **본사 위치**: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 **웹사이트**: https://www.reddit.com


    주요 특징

    - **서브레딧**: 레딧은 다양한 주제와 관심사에 따라 나뉘어진 수천 개의 서브레딧을 가지고 있다. 각 서브레딧은 그것을 관리하는 자체 규칙과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익명성**: 사용자들은 실명을 사용하지 않고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업보트 및 다운보트**: 사용자들은 게시물이나 댓글에 대해 긍정적인 투표(업보트)나 부정적인 투표(다운보트)를 할 수 있다. 이는 커뮤니티 내에서의 콘텐츠의 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AMA(Ask Me Anything)**: 유명 인사나 특정 직업군의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무엇이든 물어볼 수 있는 세션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는 레딧에서 매우 인기 있는 콘텐츠 형식 중 하나이다.

    사용 방법

    1. **계정 생성**: 레딧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무료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2. **서브레딧 탐색 및 구독**: 관심 있는 주제의 서브레딧을 탐색하고 구독하여 해당 서브레딧의 새로운 게시물을 피드에서 볼 수 있다.
    3. **게시물 및 댓글 작성**: 게시물을 올리거나 다른 사용자의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다.
    4. **투표**: 다른 사용자의 게시물이나 댓글에 업보트 또는 다운보트를 통해 의견을 표현할 수 있다.


    Reddit에서 인기있는 몇몇 서브레딧은 다음과 같다:

    r/funny: 유머와 웃음을 공유하는 곳으로, 약 58백만 명의 구독자가 있다.
    r/AskReddit: 다양한 질문과 답변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로, 약 45백만 명의 구독자가 있다.
    r/gaming: 게임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곳으로, 약 40백만 명의 구독자가 있다.
    r/aww: 귀여운 동물 사진과 동영상을 공유하는 커뮤니티로, 약 36백만 명의 구독자가 있다.
    r/worldnews: 세계 뉴스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는 곳으로, 약 36백만 명의 구독자가 있다.
    레딧은 다양한 배경과 전문 지식을 가진 사용자들이 모여 있는 커뮤니티이기 때문에, 여러 유명 인물이나 주목받는 유저들이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보겠다:

    1. 알렉시스 오하니안 (Alexis Ohanian)
    레딧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인 오하니안은 레딧 커뮤니티 내에서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레딧을 넘어서 기술 업계와 사회적 이슈에도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인물로, 여러 차례 AMA(Ask Me Anything) 세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2. 아론 스와츠 (Aaron Swartz)
    아론 스와츠는 인터넷 활동가이자, 레딧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정보의 자유로운 공유를 강력히 주장했으며, 그의 사망 후 많은 레딧 사용자들과 인터넷 커뮤니티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GallowBoob (Robert Allam)
    GallowBoob는 레딧에서 가장 유명한 사용자 중 하나로, 그의 계정은 매우 활발한 활동으로 인해 높은 카르마 점수를 가지고 있다. 그는 다양한 콘텐츠를 공유하여 큰 인기를 끌었으며, 어떻게 보면 레딧 내에서 유명인사가 되었다.

    4. Shitty_Watercolour (Hector Janse van Rensburg)
    Shitty_Watercolour는 자신의 특징적인 수채화 스타일로 레딧 게시물을 그려 유명해진 사용자이다. 그의 예술 작품은 레딧 커뮤니티 내에서 큰 사랑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여러 차례 미디어에 소개되기도 했다.

    이들의 공통점
    이러한 인물들이 레딧 커뮤니티 내에서 유명해진 이유는 각자의 방식으로 레딧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레딧은 사용자들의 활발한 참여와 공유를 통해 성장하는 플랫폼이며, 이러한 기여가 다른 사용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때로는 유명세를 가져다주기도 하다. 그들의 이야기는 레딧이 단순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넘어서, 개인의 열정과 창의성이 빛을 발할 수 있는 공간임을 보여준다.

    레딧에서는 다양한 주제가 활발하게 논의되며, 이들 중 일부는 특히 인기가 많다. 여기 몇 가지 인기 있는 주제들을 소개한다:

    1. 기술과 과학
    기술과 과학 관련 주제는 레딧에서 널리 인기를 끌고 있다. 최신 기술 트렌드, 과학 발견, IT 뉴스 등이 활발하게 논의된다. 서브레딧 예시로는 r/technology, r/science, r/space 등이 있다.

    2. 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은 레딧 사용자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 있는 주제이다. 다양한 게임에 대한 논의, 팁 공유, 게임 뉴스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r/gaming, r/leagueoflegends, r/pokemon 같은 서브레딧이 대표적이다.

    3. 영화와 TV 프로그램
    영화와 TV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토론, 이론 공유 등이 레딧에서 큰 인기를 끕니다. 특정 시리즈에 대한 팬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r/movies, r/television 등이 있다.

    4. 자기개발
    건강, 운동, 학습, 직업 관련 조언 등 자기개발에 대한 내용도 레딧에서 인기 있는 주제이다. 사용자들은 서로에게 동기부여를 주고, 조언을 공유합니다. r/fitness, r/GetMotivated, r/personalfinance 등이 인기있다.

    5. 음식
    음식 관련 주제도 매우 인기가 있다. 요리법 공유, 음식 사진, 요리 관련 팁 등이 활발히 공유됩니다. r/food, r/cooking 등의 서브레딧이 대표적입이다.

    6. 밈(Memes)과 유머
    밈과 유머 관련 콘텐츠도 레딧에서 큰 인기를 끈다. 일상의 소소한 웃음이나, 시사 이슈를 풍자하는 밈 등이 다양하게 공유돠다.
    r/memes, r/funny가 이 카테고리의 예이다.

    레딧은 각기 다른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주제들 외에도 무수히 많은 주제들이 끊임없이 탐색되고 논의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레딧은 상장가보다 48.4% 급등한 50.44달러에 상장 후 첫 거래를 마쳤다.

    레딧은 공모가격보다 38% 높은 47달러에 거래를 시작해 장중 57.8달러까지 찍기도 했다.

    이날 종가를 반영한 시가총액은 95억달러(약 12조6천억원)로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65억달러) 대비 30억달러(약 4조원)나 급증했다.

    2005년 설립된 레딧은 지난해 10월 기준 일일 순방문자가 7000만명이 넘는 사회관계망서비스다. 레딧의 주식 토론방 월스트리트벳츠‘(WallStreetBets)는 ’밈 주식‘(온라인에서 입소문을 타 개인투자자들이 몰리는 주식) 거래와 관련해 미국의 개인 투자자들이 자주 찾는 포럼으로 유명하다.

    지난 2021년 ‘게임스톱 사태’ 당시 개인 투자자들은 월스트리트벳츠를 중심으로 월가 헤지펀드의 공매도에 맞서 ‘개미들의 반란’을 벌였고, 해당 포럼은 ‘밈주식의 성지’로 불리기도 했다.

    이 회사는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뉴하우스 가문의 어드밴스(30% 이상)와 중국 텐센트(11%)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Designed by Tistory.